건강 꿀팁

유아, 성인 결막염 원인과 증상 및 전염(+약국에서 살 수 있는 안약)

스마트헬스케어 2023. 4. 25. 13:26
반응형

결막염 증상
결막염 증상 중 하나, 눈의 충혈

환절기가 되면서 눈의 염증인 결막염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알레르기로 인해 매년 비슷한 시기에 결막염이 찾아오는 사람도 있지만 또 급성 바이러스, 세균으로 인해서도 결막염에 걸릴 수 있는데요. 아기들은 감기에 걸리더라도 결막염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결막염의 원인과 증상, 전염과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안약에 대해 알아볼까요?

 

결막염 원인

결막염은 감염성과 비감염성 결막염으로 나뉩니다. 

  • 감염성 결막염
    •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해 감염되는 결막염입니다. 주로 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의해 감염되고, 단순포진바이러스(헤르페스)에 의해서 감염되기도 합니다.
    • 아기들은 아데노바이러스에 걸렸을 때 결막염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출혈성 결막염(아폴로 눈병) 등도 결막염을 일으키는 원인입니다. 
    • 세균성 결막염의 경우에는 각막 천공, 시력 상실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 비감염성 결막염
    • 알레르기성 결막염
    • 그 외의 결막염: 주로 외상에 의해 발생하며 눈이 잘 감기지 않아서 생기는 노출성 결막염, 각막 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각막염, 콘택트렌즈에 의한 결막염 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결막염 증상, 전염

결막염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눈의 충혈
  2. 끈적끈적한 눈곱, 연두색 눈곱
  3. 눈의 이물감과 따끔거림
  4. 눈물의 과도한 분비
  5. 눈 부음
  6. 가려움과 뜨거운 느낌
  7. 자고 일어나면 눈곱이 유독 많이 낌

비감염성 결막염(알레르기성 결막염)의 경우에는 전염되지 않지만, 바이러스에 의한 결막염, 유행성 결막염의 경우에는 전염됩니다. 환자와 접촉하거나 물건을 함께 쓴 경우에 전염될 수 있으며, 결막염 증상이 나타나는 동안 전염성이 가장 높습니다.

 

약국에서 살 수 있는 결막염 안약

다음의 두 가지 안약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효과가 있는 안약입니다. 

  • 나조린 점안액: 충혈 억제와 가려움증을 완화해 주는 안약으로 하루에 2~4회 눈에 넣어줍니다. 충혈을 억제하는 성분인 나파졸린과 항히스타민제인 페니라민이 들어있어 충열 억제와 가려움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가격은 3,000~5,000원입니다.
  • 알로콘 점안액: 가려움증을 완화해주는 안약으로 역시 1일 2~4회 눈에 넣어줍니다. 항히스타민제인 케토티펜 성분이 있어 가려움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아기 결막염 안약

토브라마이신 성분의 안약인 토라미신과 토라신 안연고 등을 처방하는 경우가 많으며 비슷한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들어있는 다른 안약이나 안연고를 처방하기도 합니다.(올로파타딘염산염 등) 유아는 안약을 투여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주로 잠들었을 때 투약하면 좀 더 편하게 투약하실 수 있습니다. 안약보다는 안연고가 좀 더 투약하기 쉽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