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방병 증상, 감기와 어떻게 다를까요?
여름철에는 실내 어디를 가도 강한 냉방으로 실외 온도와 차이를 심하게 느낄 수 있는데요. 이러한 냉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냉방병의 증상을 알아보겠습니다. 냉방병은 감기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냉방병이란? 냉방병 원인 2가지
냉방병은 환기를 하지 않은 채로 밀폐된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낮은 온도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냉방병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심한 온도차에 의한 경우
-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가 10도 이상 차이가 나게 되는 경우 우리 몸 속 자율신경계에 혼란이 오게 되고 급격하고 큰 온도차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자율신경계 기능 저하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면역력이 떨어지며 냉방병에 걸리는 것입니다.
- 에어컨 내부에 있던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경우
- 레지오넬라균은 오래된 냉각수, 온천수 등 관리가 잘 되지 않은 물에 많이 서식하는 균인데요. 에어컨 바람을 통해 호흡기로 균이 유입되면서 냉방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 노인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위험하며 폐렴 증상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레지오넬라균은 전염성이 강하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냉방병 증상, 감기와 다른 점
냉방병 증상은 감기와 비슷합니다. 오한, 콧물, 기침, 발열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따라서 감기로 생각하고 치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감기와의 차이점이 있다면 두통과 소화불량, 근육통, 무기력증의 증상이 강하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냉방을 껐을 때 두통 등의 증상이 호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호흡기 증상이 없이 두통과 오한, 설사 등의 증상만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더욱 구분하기 쉽습니다. 냉방병 증상이 있는 경우, 보통은 충분한 휴식으로 좋아지지만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되어 호흡기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여 빠른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냉방병 예방하려면?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는 온도 차이가 너무 많이 나면 항상성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에어컨 실내 적정온도 26도 정도를 유지하여 온도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에어컨을 정기적으로 청소 및 관리하여야 하며, 자동건조 또는 송풍을 이용하여 에어컨을 충분히 말린 후 꺼야 합니다. 곰팡이, 세균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4~5시간에 한 번은 에어컨을 끈 뒤 5~10분 동안 환기를 하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환기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