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꿀팁

유아 모세기관지염, 전염되나요? 원인과 증상 및 대처 방법

by 스마트헬스케어 2023. 6. 5.
반응형

모세기관지염 전염 증상 원인

잘 때 특히 심해지는 쌕쌕거리는 숨소리와 기침소리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아이, 모세기관지염인 경우가 많은데요. 모세기관지염의 원인과 증상, 전염 여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모세기관지염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모세기관지염 원인 및 증상

  • 원인
  • 모세기관지염에 걸리는 아이들 중 대부분은 RS 바이러스. 메타뉴모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이 중 RS 바이러스가 50% 이상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손이나 호흡기를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됩니다. 
  • 어린이집 등 단체 생활을 하는 아이들이나 다중 이용 시설을 이용할 경우에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발병합니다.
  • 증상
  • 돌 이전의 유아에게서 많이 발병하며 만 2세 전후로 가장 많이 발병합니다. 돌 이전의 유아에게 모세기관지염이 나타난다면 만 2~3세까지 다른 아이들보다 더욱 모세기관지염에 자주 걸려 감기 증상으로 고생하게 될 수 있습니다.
  • 감염된 후 이틀 안에 콧물과 기침이 나고,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며 식욕 감퇴, 쌕쌕거리는 소리, 가래가 동반된 기침, 쇳소리가 나는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이미 같은 바이러스를 심하게 앓고 난 적이 있다면 고열은 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미열과 나머지 증상만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모세기관지염 전염되나요?

  • 모세기관지염의 대부분이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기침과 분비물 등으로 전염되며, 증상이 있는 동안에는 기관에 보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또한 아이가 고열로 축 쳐지거나, 호흡이 불안정하거나, 누워서 제대로 숨을 쉬지 못하거나, 기침을 하다가 토하는 등의 증상이 있을 때는 입원하여 적절한 수액 치료 등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세기관지염 폐렴

  • 모세기관지염은 폐렴과 함께 오는 경우도 있고, 폐렴의 전 단계로서 모세기관지염만 발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폐렴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빠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항생제를 먹어도 잘 낫지 않고 기침이 2~4주까지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와 관찰이 필요합니다.

 

모세기관지염 증상의 완화를 돕기 위한 방법

  • 집 안에 가습기를 틀어 실내 습도를 높입니다.
  • 가래를 묽게 할 수 있도록 물을 많이 섭취하게 합니다.
  • 모과, 도라지배즙 등 기관지에 좋은 식품을 섭취하게 합니다.
  • 등을 가볍게 두드려 가래 배출을 돕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