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꿀팁

ETF란, ETF 개념 알아보기(ETF 투자를 꼭 해야하는 이유) 심화편

by 스마트헬스케어 2022. 12. 1.
반응형

투자의 귀재인 워런 버핏은 "자신이 잘 아는 종목에 장기투자하라. 그럴 자신이 없다면 인덱스 펀드에 분할투자하라"라는 말을 했습니다. 그렇다면 인덱스펀드에 분할투자하는 것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그 장점과 투자방법을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ETF의 장점

1. 원금 손실의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하나의 ETF는 몇 가지의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주식이 수익을 가져다 줄지 모르기 때문에 개인이 투자할 때는 ETF를 하는 게 좋습니다.

-ETF에 포함되려면 시가총액이 일정 금액 이상이거나, 매출이 일정 금액 이상이거나 하는 조건이 붙기 때문에 우리가 말하는 소위 잡주들은 포함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수익은 내면서도 마이너스 수익률이 나는 개별 종목의 위험은 분산시키는 것입니다.

 

2. 수수료가 저렴하다.

-자산운용사들이 출시하는 일반 펀드를 보았을 때, 보수와 수수료를 합친 비용을 뺀 나머지가 나의 수익이 됩니다.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복리의 법칙에 따라 수익률은 점점 커지겠지만 보수의 비용도 함께 커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ETF는 보수와 수수료가 무척 저렴하기 때문에 나의 수익률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3. 거래가 투명하고 환금성이 좋다.

-실시간으로 ETF를 구성하고 있는 종목과 비중, 수익률도 확인이 가능하며 모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한 거래가 가능합니다.

-주식처럼 거래하기 때문에 ETF를 매도한 후 +2일이 지나면 계좌에서 출금이 가능합니다.

 

 

레버리지, 인버스 2X 

 

일반 ETF는 지수를 추종하며 지수와 비슷한 수익률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레버리지ETF는 선물 등의 파생상품에 투자하여 고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고위험이 함께 따릅니다.

 

인버스는 지수의 하락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곱버스라는 용어도 많이 들리는데요. 곱버스는 인버스 2X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지수가 하락할 경우 2배의 수익이 나는 상품인 것입니다.

 

레버리지, 인버스2X 상품들은  2021년부터 사전교육을 의무화하고 기본 예탁금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당일에 해당하는 일간변동성만 반영해주는 상품이기 때문에 투기수단으로 규정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를 만든 것입니다.

 

 

ETF 분배금

 

ETF 분배금은 흔히 주식의 배당금과 비슷합니다.

기초자산 보유에 따른 수익과 기타 운용 수익으로 나뉩니다. 보통 분배금은 1월, 4월, 7월, 10월에 지급되는 경우가 많은데 수익이 났을 경우에 한하여 지급합니다. 15.4%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NAV란 무엇일까?

 

-NAV는 ETF 자산에서 부채와 기타 비용을 제외한 가치를 말하며, ETF 1주가 가진 본질적인 가치를 말합니다. 증권사 HTS나 MTS 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AV는 매일 저녁 산출됩니다. 장중에는 NAV를 10초마다 계산해서 제공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반영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iNAV라고 합니다. ETF를 적정가격에 사고 싶다면 iNAV를 확인하여 최대한 비슷한 가격에 사는 것이 좋습니다.

 

 

테마형 ETF 종류

 

테마형 ETF 중에서 전기차, 반도체, 2차전지에 투자하는 ETF를을 추려보았습니다.

 

전기차

TIGER 차이나 전기차 SOLACTIVE 

TIGER 글로벌자율주행&전기차SOLACTIVE

 

2차전지

KBSTAR 2차전지액티브

KODEX 2차전지산업

TIGER KRX 2차전지K-뉴딜

 

반도체

KODEX 미국반도체MV

TIGER Fn반도체TOP10

 

 

 

 

ETF의 기본적인 개념은 이전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TF란? ETF 뜻과 투자방법, 장단점은?

주식 호황기 때 매수한 반려주식 하나쯤은 갖고 계시죠? 하지만 믿었던 반도체주, 우량주들의 폭락으로 개별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느끼고 계실 것입니다. 수익을 내는 것은 더

yeonah.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