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호황기 때 매수한 반려주식 하나쯤은 갖고 계시죠? 하지만 믿었던 반도체주, 우량주들의 폭락으로 개별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느끼고 계실 것입니다. 수익을 내는 것은 더 어렵습니다. 이럴 때 개별 주식 투자의 대안으로 ETF 매매가 있는데요. ETF는 어떤 것인지, 투자방법과 장단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ETF란?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의 약자로 코스피같은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를 주식처럼 편하게 거래할 수 있게 만든 펀드입니다.
ETF에는 출시한 증권사에 따라서 앞에 이름이 붙는데요.
KODEX: 삼성자산운용
TIGER: 미래에셋자산운용
KINDEX: 한국투자신탁운용
KOSEF: 키움자산운용
ARIRANG: 한화자산운용
마이다스: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KBSTAR: KB자산운용
마이티: 동부자산운용
TREX: 유리자산운용
GIANT: 대신자산운용
시장대표 ETF
-시장대표 ETF는 KODEX200, KOSEF200, KINDEX200 처럼 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들을 말합니다. KOSPI200, KRX100 등과 같이 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변동성은 낮은 편입니다.
섹터 ETF
-특정 업종에 소속된 기업에 분산 투자하여 개별 종목에 투자할 때의 위험을 줄이고, 평균 수익 이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입니다. 개별주식보다 변동성은 낮지만 다른 ETF상품보다는 변동성이 높습니다. 업계 호황과 불황에 따라 주가가 변동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KODEX 반도체. KODEX IT 등이 섹터 ETF에 해당합니다.
테마ETF
-테마주처럼 묶인 주식들로, 섹터ETF와 비슷하지만 업종별로 구분하지 않습니다. TIGER 2차전지는 2차전지 테마지수를 추종하고 SK, LG화학 등에 투자합니다.
스타일 ETF
-크게 가치주와 성장주로 분류하고, 주식의 특성과 성과 형태가 비슷한 종목을 묶어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산출된 스타일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가치주 지수는 주가순자산비율, 주가현금흐름비율, 배당수익률 등의 지표를 적용하여 현재 기업가치가 저평가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성장주 지수는 순이익증가율, 매출액, 내부성장률이 높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TIGER 가치주,, 중소형가치주 등이 스타일 ETF에 포함됩니다.
ETF 투자방법
본인이 거래하는 증권사의 증권 계좌를 이용하여 주식처럼 거래하면 됩니다.
코스닥, 코스피를 비롯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도 있고, 원자재, 금, 원유, 에너지 등에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종목 검색 창에서 ETF를 검색하여 거래량, 거래대금 등을 확인하여 거래합니다.
레버리지 ETF에 투자할 경우에는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ETF 장단점
장점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일반 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현저하게 낮습니다. 같은 펀드에 대해서도 일반 증권사에서는 수수료와 성공보수를 합쳐 2.29%인 상품이 ETF로 매매할 때는 0.09%인 것입니다.
-국내주식으로 구성된 ETF는 비과세이기 때문에 세금 면에서도 좋습니다. 채권, 해외주식, 원자재 등의 펀드는 원천징수로 매매차익에 대해 15.4%의 세금을 내야합니다. 매도 시에 자동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따로 낼 필요는 없습니다.
-개별 주식에 투자하는 것보다 투자 손실 발생할 위험이 적습니다.
-소액으로도 분산 투자가 가능합니다.
단점
-대부분의 투자상품이 그렇듯 원금보장 되는 상품이 아니며 추종 지수가 하락할 경우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식에 비해 거래량이 적어서 거래 대금이 클 경우 체결이 어렵습니다.
다음 글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ETF란, ETF 개념 알아보기(ETF 투자를 꼭 해야하는 이유) 심화편
투자의 귀재인 워런 버핏은 "자신이 잘 아는 종목에 장기투자하라. 그럴 자신이 없다면 인덱스 펀드에 분할투자하라"라는 말을 했습니다. 그렇다면 인덱스펀드에 분할투자하는 것은 어떻게 하
yeonah.tistory.com
'경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신고, 국세청 홈택스에서 모두채움 서비스로 간편하게(+세율, 기한 후 납부 가산세) (0) | 2023.05.02 |
---|---|
ETF란, ETF 개념 알아보기(ETF 투자를 꼭 해야하는 이유) 심화편 (0) | 2022.12.01 |
국민연금(노령연금) 예상수령액, 어플 또는 컴퓨터로 1분 안에 조회가 가능해요! (0) | 2022.08.31 |
재개발 절차를 알아봅시다(재건축과의 차이점은?) (0) | 2022.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