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취는 마취 기술의 발달로 사망률과 부작용이 많이 낮아졌지만 여전히 부작용과 위험은 존재합니다. 전신마취 부작용 및 사망률, 수면마취와 전신마취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까요?
전신마취 부작용
흔히 전신마취 수술 후에 나타나는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토나 메스꺼움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로, 전신마취에서 깨어난 이후 메스꺼움과 구토를 경험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마취에 사용한 약물이 소화기관에 영향을 주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2. 정신 혼미
마취에서 깨어난 후 정신이 혼미한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3. 피로감
전신마취 후에는 잠이 쏟아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데요. 하지만 이때 자게 된다면 자발적으로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고, 의식저하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잠을 자지 못하게 합니다.
4. 인후통
전신 마취시 보통 기도 내에 기관을 삽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한동안 목이 아프거나 인후통이 발생합니다.
5. 일시적인 인지 기능 저하
전신마취 후에는 일시적으로 인지 기능이나 기억력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지만 성인이라면 금방 회복됩니다. 하지만 뇌 발달이 진행 중에 있는 2세 미만의 영유아는 인지 장애나 ADHD 증상을 보일 수 있다고 합니다.
전신마취 사망률
전신마취로 인한 사망률은 0.00001% 이하로 밝혀졌습니다. 즉 10000명 중 1명이라는 희박한 확률이며 유전적 소인이 없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수면마취 전신마취 차이점
수면마취는 간단한 치과 치료, 내시경, 피부 미용 시술 등 간단한 시술 및 수술에서 사용됩니다. 주로 수술 시간이 짧은 경우, 환자가 불안해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왕절개 수술 시에도 하반신 마취 후 수면마취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전신마취는 복강경 수술, 심장이나 뇌 수술처럼 개복, 개흉 등의 복잡하고 수술 시간이 긴 경우에 사용하며 8~12시간의 금식이 필수입니다. 완전히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에서 수슬을 진행합니다.
'건강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앉았다 일어날 때 또는 움직일 때 두통 생긴다면, 경추성 두통일까 (0) | 2024.09.23 |
---|---|
초음파 시술인 울쎄라 vs 고주파 시술인 올리지오 차이 (2) | 2024.09.09 |
코피 자주 나는 이유와 멈추는 방법(+코피에 좋은 음식) (2) | 2024.09.04 |
콤부차 효능 5가지, 카페인 및 당 함량은? (5) | 2024.09.02 |
쥐젖 원인 및 예방, 제거 비용(+실비 청구 될까?) (0) | 2024.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