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를 일찍 재우고 빠른 육퇴를 하고 싶은 건 모든 엄마들의 소망일텐데요.
하지만 커갈수록 밤잠에 드는 시간이 늦어지는 우리 아기, 이유는 무엇이고 해결 방법은 무엇일까요?
아기가 늦게 자는 이유
1. 아침 기상 시간이 늦어서
-일찍 기상하는 아기는(6시~7시) 취침 시간이 빠를 수 밖에 없습니다. 내 아이가 취침 시간이 늦다면 혹시 아침 기상 시간을 확인해 보세요.
2. 낮잠을 많이 자서
-어린이집에 다닌다면 만1-2세 아이들은 낮잠을 자게 되는데요. 낮잠을 1시간~1시간 30분 정도 잔다면 밤잠에 드는 시간에 크게 지장이 없지만, 만약 2시간 이상 자게 된다면 취침 시간이 늦어지게 됩니다.
아기 일찍 재우는 방법
1. 아침 기상 시간 당기기
-아침 기상 시간이 8시 이후로 너무 늦다면 8시 이전으로 조금씩 당겨보세요. 하지만 엄마도 너무 피곤하니 쉽지는 않은 방법입니다. 또 아기를 재우고 나서야 겨우 자신만의 시간을 갖게 되는 엄마들은 일찍 자고 싶지가 않다는 문제가 있겠네요..ㅎㅎ 이 방법을 사용하고 싶다면 아기와 함께 잠에 들고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들여야겠죠.
2. 낮잠 줄이기
-이 방법에는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장점은 아기가 밤잠에는 빨리 들겠지만, 단점은 하루종일 각성 상태에 있던 아기가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오히려 밤중에 더 자주 깬다는 점입니다. 울면서 깨는 것은 덤이네요.. 또한 자기 직전까지 점점 피곤해서 짜증을 내는 아이를 감당해야 한다는 매우 크나큰 단점이 있습니다.
3. 밖에서 힘빼기(?)
-어른들도 활동량이 많으면 피곤해지듯, 아이들도 몸으로 활동하는 시간이 많으면 에너지를 소비하여 피곤해집니다. 그러면 조금이라도 일찍 잠에 들 수 있습니다.
4. 기타
-위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기 어렵다면 일상 속에서 소소하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는데요. 이것은 엄마들의 조언을 모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첫째, 정서적으로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여 칭얼거리고, 안자겠다고 떼를 쓸 수 있기 때문에 깨어 있는 동안은 충분히 놀아주는 방법입니다.
-둘째, 약간의 훈육을 곁들인 방법인데요. 아이들이 18개월이 넘어가면서부터 자는 방으로 들어가도 자꾸 거실로 나가자고 하거나, 뭔가를 해달라고 조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요구를 들어주다보면 끝이 없고, 자는 시간은 점점 늦어지고, 엄마는 화가 나죠. 그래서 애초에 한계를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자러 들어오면 나갈 수 없다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주는 것이죠.
-셋째, 자기 전에 책을 읽어주거나, 이야기하는 시간을 없애고 대꾸없이 자는 척 하는 방법입니다. 사실 저는 잠자리 독서를 좋아하고, 아기랑 도란도란 이야기하는 게 소소한 행복이라 이 방법은 개인적으로 선호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효과는 있다고 하네요.
이렇게 다양한 방법들로 늦게 자는 원인을 파악하고 아이를 일찍 재워보는 시도를 해보는 건 어떨까요? 육아에는 뭐 하나 쉬운 게 없지만 노력하시는 모든 엄마아빠를 존경합니다. 😍 우리 행복한 수면교육 해봐요~!
'육아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다롭고 공격적인 우리 아이, 뭐가 문제일까? (0) | 2022.06.14 |
---|---|
책육아를 위한 목표 설정과 로드맵, 아기 책 읽어주기 방법 (한글책 편) (0) | 2022.06.09 |
엄마표 영어노출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듣기가 중요! (0) | 2022.06.08 |
아기 말문 트이는 방법, 트이게 하는 꿀팁 (0) | 2022.06.03 |
30개월 아기 발달 상황 및 장난감 공유 (0) | 2022.05.30 |
댓글